녹즙기 방식별 당근 착즙 효율 및 품질 비교

일반적으로 녹즙기는 착즙방식에 따라 원심분리형, 외기어 방식, 쌍기어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방식별로 당근을 착즙했을 때 그 착즙 효율과 당근즙의 품질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봤습니다.다음은 그 결과를 보여주는 논문입니다. 엔젤 녹즙기가 후원했기 때문에 약간의 편향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만 비교하고 논문 해석은 무시합니다.주스 착즙방식에 따른 당근주스의 품질특성 변화 연구는 원심분리형, 외기어 방식, 그리고 쌍기어 방식과 같은 착즙방법에 따른 당근주스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신선한 주스의 품질은 착즙률, 영양성분 및 층분리 안정성에 의해 평가되었다. 더블 기어 착즙 방식은 가장 높은 착즙률을 보였다. 또한 당근주스의 미네랄 함량은 쌍기어 착즙 방식으로 제조된 당근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일하게 쌍기어 방식의 착즙이 100g인 당근에서 1일 권장 섭취량 이상의 ${\beta}$-carotene을 얻을 수 있었다. 게다가 당근쥬스 알갱이의 크기가 가장 작게 나타납니다… scienceon.kisti.re.kr주스 착즙방식에 따른 당근주스의 품질특성 변화 연구는 원심분리형, 외기어 방식, 그리고 쌍기어 방식과 같은 착즙방법에 따른 당근주스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신선한 주스의 품질은 착즙률, 영양성분 및 층분리 안정성에 의해 평가되었다. 더블 기어 착즙 방식은 가장 높은 착즙률을 보였다. 또한 당근주스의 미네랄 함량은 쌍기어 착즙 방식으로 제조된 당근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일하게 쌍기어 방식의 착즙이 100g인 당근에서 1일 권장 섭취량 이상의 ${\beta}$-carotene을 얻을 수 있었다. 게다가 당근쥬스 알갱이의 크기가 가장 작게 나타납니다… scienceon.kisti.re.kr방식별 착즙효율 비교다음은 방법별 영양성분을 비교한 표입니다. 당근즙 100g의 영양 성분을 비교했는데 폴리페놀의 총 함유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방식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TPC : 총 폴리페놀 함량, TFC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그리고 착즙 후 당근 알갱이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쌍기어 방식이 가장 작습니다. 당근즙 같은 녹즙을 섭취하는 이유가 식이섬유 섭취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입자가 작을수록 좋은 것 같습니다.당근 국 알갱이 크기또 논문에 따르면 당근즙 같은 경우에는 저장 2일째부터 PH가 줄어들기 시작했다고 하니까 가능하면 매일 착즙해서 드시는 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쌍기어 방식의 엔젤녹즙기가 외기어 방식의 휴롬보다 100만원 이상 차이가 나지만 장기간 사용한다면 엔젤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착즙 후 영양 성분 면에서는 차이가 별로 없지만 착즙 재료비가 30% 정도 절약되기 때문입니다. 내가 녹즙 재료를 구입하는 데 하루에 10,000원 정도 들지만 휴롬을 사용한다면 하루에 3,000원 정도는 더 지불해야 하고 1년에 재료비만 100만원 차이가 납니다. p.s. 당근 생산지에 따라 수분 함량의 차이가 크고 그에 따라 착즙 효율도 달라집니다. 충남, 강원, 경북의 것은 단단한 편이고 제주, 경남의 것은 헐겁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