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수근관증후군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연간 약 18만명 안팎으로 많은 사람들이 손목 통증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테니스나 배드민턴 등 생활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팔꿈치 통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았지만 최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 시간이 늘어나면서 손목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수가 늘었습니다. 2019년 자료를 기준으로 수근관증후군 전체 진료인원의 75%는 여성이었고, 이 중에서도 78%는 40~60대 중장년층이었습니다. 오늘 뉴고려병원에서는 손목 통증과 손 저림 증상을 유발하는 수근관증후군은 왜 발생하고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수근관증후군 4가지 자가진단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수근관 증후군이란?
‘손이 저리다’라고 하는 것은 감각 증상입니다. 손목이 아픈 것과 저린 것은 조금 다르지만, 저린 것은 신경에 질병이 생겨서 일어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손이 저리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신경 자체에 질병이 나오는 경우와 신경이 압박되어 저린 증상이 나오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빈도로 말하면 신경이 압박되어 손이 저리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가장 많은 원인이 바로 ‘손목터널증후군’입니다. 손목 구조를 보면 그 안에 수근관이 존재하고 손목뼈와 손목뼈의 지붕을 이루는 횡수근 인대가 있고 그 사이에 정중신경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정중신경은 힘줄에 비해서 약한 조직인데 이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서 저린 증상을 일으키는 것이 바로 수근관 증후군입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수근 터널은 뼈와 가로 수로 구성된 좁은 터널인데 뼈와 가로 수 인대는 매우 딱딱한 뼈성 인대 조직이기 때문에 늘지를 않아요.손목 터널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손목 터널 내에 물집이 생기거나 터널 내를 지나 9개의 인대가 부었을 때도 손목 터널의 압력이 증가하는 일이 있습니다.통상, 류머티즘 환자나 결핵 환자, 심부전 환자, 당뇨병 환자 분들이 인대가 불 있습니다.또 다른 원인으로 손목을 부러진 경우 부정 유합이 발생하고 손목 터널이 좁아지고 손목 터널 증후군이 생기는 일이 있습니다.이러한 다양한 원인 중 가장 많은 원인은 중년 이상 특히 여성이 손목을 많이 써서 요코테 힘줄 인대가 두터워지고 수근관 증후군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말씀 드린 여러 원인이 있지만 수근관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려면 X라인과 초음파, MRI촬영 등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수근관 증후군은 대부분이 중앙 신경이 눌려서 손이 저리는 증세가 나타나고 증상의 초기에는 엄지부터 약지까지 저리는 증상, 그리고 밤에 특히 저리는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찬물에 손을 담그면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증상이 매우 심해지거나 오래 되면 감각이 점차 사라지고 더 심해지면 무구(엄지의 밑부분)이 마르고 평평하게 됩니다.수근관 증후군 자기 진단법
팔렌테스트(Phalen’s test)

팔렌 테스트, 팔렌 검사는 수근관 증후군을 자가 진단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양손을 90도로 구부려 손등을 마주 본 후 1분 정도 유지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손목을 굴곡시키면 손목 터널이 좁아지는데 이 상태로 1분 정도 유지하면 정상인도 불편할 수 있지만 손목 터널 증후군 환자들은 특히 손 저림 증상을 심하게 느낍니다. 1분 정도 유지가 어렵고 손이 저리거나 감각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면 수근관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티넬진프 (Tinel’s sign)
치넬 징후는 손목의 정중 신경에 자극을 주어 통증이나 감각 이상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정중신경은 손목에서 엄지손가락 방향으로 지나가는데 이 부분을 손가락이나 막대기로 가볍게 두드리는 방법입니다. 두드렸을 때 손가락으로 저림이 늘어나는 것처럼 느껴지면 수근관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병의 정중 신경은 과민한 상태이므로 가볍게 두드리기만 해도 저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전완 압박 검사 (Forearm compression test)

전완 압박 검사는 손목의 정중 신경 부위를 20초 정도 압박하여 이상 감각의 유무를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치넬 징후와 비슷한 자가진단 방법으로 정중신경이 지나가는 부위를 손으로 압박했을 때 손이 저리는 증상이 더 심하게 느껴진다면 수근관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손바닥 원지(엄지가 퐁당) 확인엄지와 새끼 손가락을 맞대고 힘을 준 상태에서 정상적인 무지구 근육은 튀어나옵니다. 하지만 수근관증후군 환자의 경우는 근육이 약해져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기 때문에 덜컹거리거나 무지구 근육의 위축이 심한 경우 평평하거나 움푹 패이게 됩니다. 이렇게 무지구 근육이 위축된 상태라면 정중신경의 압박이 상당히 진행이 됐다고 볼 수 있고 수술 후에도 완전한 회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엄지와 새끼 손가락을 맞대고 힘을 준 상태에서 정상적인 무지구 근육은 튀어나옵니다. 하지만 수근관증후군 환자의 경우는 근육이 약해져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기 때문에 덜컹거리거나 무지구 근육의 위축이 심한 경우 평평하거나 움푹 패이게 됩니다. 이렇게 무지구 근육이 위축된 상태라면 정중신경의 압박이 상당히 진행이 됐다고 볼 수 있고 수술 후에도 완전한 회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